home
1:1문의 FAQ

건설기계기술사 자격증 정보안내

2011-12-13

| 개요

국내 건설기계 생산기술은 범용부품의 경우 선진국 수준에 근접하고 있으나, 엔진, 유
압장치 등 주요 핵심부품은 낙후된 상태에 머물러 있다. 특히 시스템 디자인, 인간공
학 설계기술, 전자제어기술 등은 크게 뒤쳐져 있다. 이에 따라 건설기계의 기술향상
을 위하여 기계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건설기계와 관련한 공정, 기술과 관
련된 직무를 수행할 전문적 지식과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을 배출하기 위해 자
격을 제정.
 

| 변천과정

1974년 기계기술사(건설기계)로 신설 (대통령령 제7283호, 1974.10.16)

1991년 건설기계기술사로 변경 (대통령령 제13494호, 1991.10.31)

 

| 수행직무

건설기계 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
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 실시기관 홈페이지

 

| 실기시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 진로 및 전망
- 주로 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엔지니어링업체 등으로 진출하며, 일부는 기술사
사무소를 개설하거나 건설기계제작 및 정비업체, 행정분야, 학계, 연구소 등으로
진출한다.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특급감리원이나, 「전기
사업법」에 의한 기계안전관리사로 고용될 수 있다.
- 건설기계산업은 건설경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국내 건설경기는 IMF관리
체제 편입 이후 어려움을 겪었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규모 정부정책사업
(고속철도, 신공항건설)의 활성화와 민간부문의 주택건설증가,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촉진 등에 의하여 점차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세계 건설산업의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건설기계 수출도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기계 기술수준은 일부 기종을 제외하면 엔진·유압장치 등 주요
핵심부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등 아직도 낙후된 상태이다. 또한 핵심기술인력도
부족하여 지속적인 기술개발을위해서는 더 많은 인력양성을 필요로 한다. 한편으로
기술자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 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하는데도 매우
유리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기술사자격취득을 위한 응시인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 장기적으로는 여타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저소음 및 연료절감을 위한 기술개발이나
무인작업화를 위한 로봇개발 등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로봇, 메카트로닉스 기술, 컴퓨터와 연계된 자동제어기술을 습득해두면 더욱
유리할 전망이다.

 

| 종목별 검정현황

종목명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건설기계기술사 2010 89 10 11.2% 42 23 54.8%
건설기계기술사 2009 75 32 42.7% 67 30 44.8%
건설기계기술사 2008 73 21 28.8% 43 22 51.2%
건설기계기술사 2007 76 16 21.1% 20 8 40%
건설기계기술사 2006 83 10 12% 19 12 63.2%
건설기계기술사 2005 76 9 11.8% 19 10 52.6%
건설기계기술사 2004 87 20 23% 27 18 66.7%
건설기계기술사 2003 75 16 21.3% 20 17 85%
건설기계기술사 2002 88 19 21.6% 23 19 82.6%
건설기계기술사 2001 108 24 22.2% 36 28 77.8%
건설기계기술사 1977.2000 1,966 383 19.5% 463 365 78.8%
소   계 2,796 560 20 779 552 70.9


(주)이밸류마크 / 대표:최민정 / 사업자등록번호 : 128-87-1397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4-고양일산동-0937
주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정발산로 24 T-3 703, 704호 / 대표번호 : 1688-3744 / 이메일 : help@edupure.net / FAX : 031-908-1449
  • 원격훈련기관번호
    제 200900603호
  •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기관
    지정번호 제 2019–91호
  • 평생교육시설
    등록번호 제 66호
quick menu
  • 로그인
  • 수강신청방법
  • FAQ
  • 원격지원
  • 찜한강의
  • 위시리스트